티스토리 뷰
목차
청년도약계좌란?
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의 장기적인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서민금융진흥원에서 운영하는 정책금융상품입니다.
이 계좌는 청년들이 안정적으로 자산을 쌓아갈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, 다양한 혜택을 제공합니다.
청년도약계좌 주요 혜택
- 정부기여금: 5년(60개월) 동안매월 최대 6%의 정부기여금 지급
- 비과세 혜택: 이자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 제공
- 납입 유연성: 월 1천 원부터 최대 70만 원까지 자유롭게 납입 가능
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
- 연령: 만 19세부터 34세까지의 청년
- 소득: 직전 과세기간 총급여액이 7,500만 원 이하
- 가구 소득: 가구소득 중위소득 250% 이하
※가구원은 청년 본인과 본인의 주민등록표 등본상 배우자, 부모, 자녀, 형제, 자매를 기준으로 판단합니다.
청년도약계좌 신청 방법 및 절차
청년도약계좌 신청은 주로 비대면으로 이루어지며, 신한은행을 포함한 여러 은행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.
청년도약계좌 신청 기간은 매월 초에 열리며, 가입 요건 확인 후 계좌를 개설할 수 있습니다.
청년도약계좌 가입심사 절차 :
청년도약계좌 2024년 변경 사항
2024년부터는 청년도약계좌의 범위를 넓히기 위해 몇 가지 중요한 변경 사항이 이었습니다.
- 가구속득 중위 180% ㅡ>> 250% 이하로 변경
- 비과세 혜택 기간: 기존 5년에서 3년으로 단축
- 중도해지 인정 사유 추가: 특정 조건(혼인, 출산 ) 하에 중도해지 시에도 일부 혜택 유지
- 군 장병급여만 있는 경우에도 가입 가능
청년도약계좌 가입 유의사항
- 1명당 1개의 계좌만 가입 가능합니다.
- 현재 청년희망적금을 가입 유지하고 있는 경우 가입이 불가능합니다.
※ 가입 시 날짜에 직전 과세기간의 금융소득종합과세가 확정되지 않았을 때 전전 과세기간까지만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 여부가 확인된 경우에는 직전 과세 기간의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로 확인되는 시점부터 납입 중지 됩니다.
실제 사례를 통한 이해
예를 들어, 연 소득이 2,400만 원 미만인 청년이 월 400,000원을 납입할 경우, 매월 24,000원(400,000원의 6%)의 정부기여금을 받게 됩니다. 60개월 만기 시 1,440,000원을 받게 되는 것입니다.
이와 같이 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의 소득 수준에 따라 차등 지급되는 정부기여금을 통해 장기적인 자산 형성을 돕습니다.
마무리
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이 미래를 위한 안정적인 자산을 쌓을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금융 도구입니다. 이 글을 통해 청년도약계좌의 개념, 혜택, 가입 조건 및 신청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.
더 많은 정보와 신청을 원하시는 분들은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를 방문하거나 가까운 은행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.
'정부지원금 & 정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년 청년농업인 영농정착지원사업 1차 모집 시작! 지원 조건 및 신청 방법 총정리 (1) | 2025.02.26 |
---|---|
충청남도 계룡시 농어민수당 자격 서류 신청방법 확인하기 (0) | 2025.02.26 |
경기도 청년월세 지원 신청 방법, 자격 요건, 최신 정보 (0) | 2025.02.20 |
생애최초 주택구입 취득세 감면 혜택 신청 알아보기 (0) | 2025.02.19 |
소상공인 배달비 택배비 지원금 신청하기, 30만원 받기 (0) | 2025.02.18 |